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맛있는 쌀 추천 잘 선택하는 3가지 기준
    카테고리 없음 2020. 9. 15. 12:01
    반응형

    갓 지은 맛있는 밥만 있으면, 김치 하나만 있어도 밥 한 그릇 뚝딱이쥬?

    저의 이모부께서 이천에서 벼농사를 짓고 계시며, 쌀 품종 홍보나 판매하려는 의도가 없음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제가 어렸을 적부터 접한 지식과 생각을 종합해본 것이며 이 방법대로 쌀을 고르니 적어도 실패는 안 하더군요. 그래서 소소한 정보지만 공유하고자 합니다.

     

     1. 맛있는 쌀 추천 >> 친환경 여부 선택

    친환경 재배 방식이라고 하면 크게 무농약/유기농이 있습니다. 따로 이런 표시가 없다면 '관농' 재배법이고요. 

    첫째, 관농 방식

    일반적인 농가에서 행하는 재배 방식입니다.

    둘째, 무농약 방식.

    여기서 많은 분들이 헷갈리시는데요. 무농약은 말 그대로 농약만 안 치는 것이지 화학비료는 그대로 사용합니다.

    셋째, 유기농 방식.

    농약과 화학비료 둘 다 사용하지 않습니다.

    간혹 상품명에는 유기농이라고 하면서 무농약을 팔거나 옵션에서 헷갈리게 장난질 치는 곳이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유기농 제품이 맛도 좋고 몸에도 좋긴 합니다만... 비싸죠.

    2. 맛있는 쌀 추천 >> 쌀 품종 선택

    한국인의 밥 취향은 '찰기'와 '윤기' 그리고 '단맛'을 중요시합니다. 농가도 이에 맞추어 연구와 품종 개량을 해왔죠.

    그렇기 때문에 이젠 "어느 쌀이 가장 맛있나?"라는 질문은 무색할 정도로 우리나라 밥쌀의 맛은 상향 평준화가 되어 있습니다.

    단, 구매 전 쌀 포장의 뒷면을 확인해보세요. 단일 품종이 아닌 '혼합미'라고 적혀 있다면 거르시는 게 좋습니다. 밥 맛도 고르지 않고, 좋은 품질의 쌀이 들어있을 확률이 낮습니다.

    팁을 드리자면 농촌진흥청이 '최고 품질 쌀'을 선별해 놓은 것을 참고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어지간하면 실패가 없이 맛있는 쌀을 드실 수 있을 거예요.

    ▼ 순위가 아니고 가나다순입니다.

    고품, 대보, 미품, 삼광, 수광, 영호진미, 예찬, 운광, 진광, 진수미, 청품, 칠보, 하이아미, 현품, 해담, 해들, 해품, 호품

    3. 맛있는 쌀 추천 >> 생산연도, 도정일 확인

    우리나라는 대체로 9~10월에 수확을 합니다. 지금이 2020년이니까 -1년 해서 2019년에 생산된 쌀을 고르시면 됩니다. 2021년에는 2020년에 수확한 쌀을 드시면 되겠쥬?

    2018년 쌀은 비추천합니다. 아무래도 묵은쌀이라 맛이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도정 일자도 보시면 좋은데요 도정 후 2주 이내에 드셔야 가장 맛있는 쌀을 드실 수 있습니다.

    위 맛있는 쌀 추천 3가지 방법에 따라 잘 선택하셨다고 해도, 집에서 보관을 잘 못하면 밥 맛이 없어집니다. 그래서 가격이 조금 더 비싸더라도 쌀은 조금씩 사서 드시기를 권하고 싶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