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제삿상차림 명절 차례상 막막하다면?
    꿀팁 상자 2017. 9. 13. 10:55
    반응형

    제삿상차림 명절 차례상 막막하다면?

    조상을 위하는 마음은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지만... 어려운 제삿상차림과 예법은 아직도 너무 어렵기만 하죠. 특히 이 글을 보시고 계시다면 아마 제사는 일년에 한 두번 할까 말까 하시겠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삿상 차리는 방법과 주의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잘 차려드릴테니 복(福) 많이 주세요."

    제삿상차림 

    백마디 말로 설명드리는 것 보다 사진으로 보시는게 편하실꺼에요. 
    차례상 순서는 앞을 기준으로 맨 첫줄에 과일, 둘째줄에 포와 나물, 셋째줄에 탕류, 넷째 줄에 적과 전, 다섯째 줄에 밥과 떡류를 놓습니다.  

    간단하게 조상님께서 신위(지방)에 앉아서 식사하신다고 생각하면, 일단 밥이 가장 가까이에 있어야 하고 가장 먼 곳에는 과일 같은 디저트가 있어야 할테니까요. 


    차례 음식들간 순서(왼쪽 → 오른쪽 순)

    사진에서 처럼 맨 앞에 향로와 향합을 정 가운데에 놓으시고, 그 오른편에 술과 잔을 놓으시면 됩니다. 


    ◎ 첫째줄
    과일은 가급적 나무에서 열리는 과일을 먼저 놓습니다. 과자류는 가장 끝에 놓으시면 되요.


    ◎ 둘째줄
    왼쪽에는 포를 중간에는 나물반찬 오른쪽에는 식혜나 수정과 같은 음료를 놓으면 됩니다. 

    ◎ 셋째줄
    왼쪽에는 고기가 들어간 탕 종류를 놓고 가운데는 채소나 두부가 들어간 탕을 오른쪽에는 생선이 들어간 탕을 놓으시면 되요.

    ◎ 넷째줄
    적과 전을 놓는 방법은 탕과 마찬가지에요. 왼쪽에는 고기가 들어간 전 종류를 놓으시고, 중간에는 두부나 야채, 마지막에는 생선이 들어간 적과 전을 놓으시면 되요. 


    ◎ 다섯째줄
    가장 중요하고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다섯째줄이에요. 떡국과 송편은 오른쪽에 술잔은 왼쪽에 놓으세요. 

    시접(수저를 놓는 빈 그릇)은 조상님 한분을 모시는 경우 왼편에, 두분을 모시는 경우에는 중간에 올리시면 됩니다.

    제삿상차림 시 주의사항

    여러가지 이유로 절대 차례상에 올려서는 안될 금기된 음식들이 있는데요, 반드시 확인하길 바라겠습니다.  

    1. 복숭아, 고춧가루, 마늘, 팥
    복숭아는 대표적으로 귀신을 쫓아 내는 과일입니다. 무당이 귀신을 쫓아내는 굿을 할 때는 반드시 복숭아나무 가지를 사용합니다. 마늘 역시 동 서양을 막론하고 귀신을 쫓는 음식이죠. 고춧가루는 붉은 색 때문에 귀신을 내쫓습니다. 조상님께 식사를 대접하려는데 이런 음식들이 있으면 혼이 올 수가 없겠죠. 


    2. 끝에 '치'로 끝나는 생선
    고등어나 조기 같이 끝이 '어', '기'로 끝나는 고급 생선으로, 끝이 '치'로 끝나는 생선은 하급 생선으로 구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꽁치, 갈치, 멸치, 가물치 등은 제삿상 차림에 올리지 않습니다. (양아치에 치를 쓰는 이유도 비슷한 이유겠죠?)

    또 고등어나 참치같이 등이 푸른 물고기는 예로부터 천하다고 생각하여 제사상에는 올리지 않았다고 해요. 


    3. 비늘이 없는 생선
    장어 종류나 오징어 등의 비늘이 없이 매끈한 생선은 부정한 생선으로 여겼기 때문에 차례상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4. 기타
    모든 음식할 때도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제사음식을 만들거나 차릴 때 머리카락이 들어가면 안됩니다. 위생상의 문제를 떠나서 머리카락도 귀신을 쫓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빨간 김치역시 올리면 안되요. 한국사람과 뗄레야 뗄 수 없는 김치를 못 올리는 이유는 김치에는 제사에 들어가면 안될 음식들이 총집합되어있기 때문이죠. 마늘, 고춧가루, 파 등의 자극적인 양념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제삿상차림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이런 내용 한 번만 읽어 놓으시면 명절 때 센스있고 예의바른 사람으로 더 사랑받을 수 있으실꺼에요~ 그래도... 이제는 좀 소박한 차례상으로 바뀌었으면 하네요.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